Light and Salt 311
리눅스 기본 이론(11) - SAMBA, DHCP 본문
1.삼바 설치
'rpm -e `rpm -qa | grep samba`'
yum install -y samba
2.환경설정
vi /etc/samba/smb.conf
workgroup = 윈도우 운영체제와 동일한 그룹으로
hosts allow = 공유를 허용할 네트워크 주소 172.16.4. 172.16.4.159 172.16.4.0/255.255.255.0
security = share(익명)/user(ID/PW)/domain
netbios name = 컴퓨터이름
윈도우에서 \\리눅스 서버
3.데몬 재실행
service smbd restart
4. 방화벽 설정
iptables -A INPUT -m state --state NEW -m tcp -p tcp --dport 137:139 -j ACCEPT
iptables -A INPUT -m state --state NEW -m udp -p udp --dport 137:139 -j ACCEPT
iptables -A INPUT -m state --state NEW -m tcp -p tcp --dport 445 -j ACCEPT
service iptables restart
5.공유디렉터리 및 권한 설정
mkdir /samba
6.공유 설정
vi /etc/samba/smb.conf 파일의 맨 마지막 라인에 추가설정한다.
[공유명]
comment = 설명
path = 공유디렉토리 경로
force user = samba
force group = samba
read only = yes 또는 no
writable = yes
public = yes
browseabla = yes
printable = yes 또는 no
create mode = 0655
valid users = 허용할 계정명 예를들면 smbuser1
*삼바계정은 실제 /etc/passwd에 등록된 계정만 허용 가능하다
useradd -d /dev/null -s /sbin/nologin smbuser1
smbpasswd -a smbuser1
passwd:
service smb restart
8.삼바 테스트
(1)testparm
(2)smbstatus
9.브라우저로 삼바관리하기 (swat)
yum install -y samba -swat
vi /etc/xinetd.d/swat
{
prot=901
sockey_type = stream
wait=no
only_from = swat 접속할 호스트주소
user =root
server= /usr/local/samba/sbin/swat
log_on_failure +=USERID
disable=no
}
저장.
service xinetd restart
호스트에서 웹브라우저 http://삼바서버아아피:901
10. 네트워크 프린터 서버 설정하기
yum install -y system-config-printer
yum install -y cups
vi /etc/cups/cupsd.conf
Listen localhost:631 주석처리
Listen *:631 구문추가
<Location /> 공유 허용할 아이피 선언
Order allow,deny
Allow 192.168.111.*
</Location>
# Restrict access to the admin pages...
<Location /admin>
Encryption Required
Order allow,deny
Allow 192.168.111.*
</Location>
**클라이언트 웹브라우저에서 http://서버아이피:631
11.윈도우에서 리눅스 프린트로 PDF 인쇄하기
# wget http://hbcom.info/cups-pdf/cups-pdf-2.4.2.-2.i386.rpm
# rpm -ivh cups-pdf-2.4.2-2.i386.rpm
# vi /etc/cups/cups-pdf.conf
Out ${HOME}/Desktop (Line 44) -->파일경로 수정
# service cups restart
http://localhost:631 사이트 접속
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
DHCP 서버구축
조건.
DHCP 서버는 하나의 공인아이피와 스위치로 사설아이피를 사용하는 두개의 랜카드를 사용중이다.
공인아이피 : 11.11.11.11
사설아이피 : 10.10.10.10
두 개의 아이피를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설정하는 것은 본딩이라고 한다.(실전에서 매우 중요)
1.서버구축
yum install -y dhcp -y dhclient
2.환경설정(내용이 없으므로 샘플파일을 참고하거나 새로 작성해준다)
vi /etc/dhcpd.conf
ddns-update style in intermin;
ignore client-updates;
subnet 192.168.0.0 netmask 255.255.255.0 {
range 192.168.0.2 192.168.0.254
default-lease-time 43200;
max-lease-time 86400;
option-routers 192.168.0.1;
option-subnet-mask 255.255.255.0;
option broadcast-address 192.168.0.255;
option domain-name-servers 168.126.63.1;
}저장.
3.임대파일
mkdir /var/lib/dhcp
touch /var/lib/dhcp/dhcpd.leases
4.방화벽 설정
-A INPUT -m state --state NEW -m udp --dport 67:68 -i eth0 -j ACCEPT
service dhcpd restart
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
#
# DHCP Server Configuration file.
# see /usr/share/doc/dhcp*/dhcpd.conf.sample
[root@GNOME-08 samba]# cat /usr/share/doc/dhcp*/dhcpd.conf.sample
ddns-update-style interim;
ignore client-updates;
subnet 192.168.0.0 netmask 255.255.255.0 {
# --- default gateway
option routers 192.168.0.1;
option subnet-mask 255.255.255.0;
option nis-domain "domain.org";
option domain-name "domain.org";
option domain-name-servers 192.168.1.1;
option time-offset -18000; # Eastern Standard Time
# option ntp-servers 192.168.1.1;
# option netbios-name-servers 192.168.1.1;
# --- Selects point-to-point node (default is hybrid). Don't change this unless
# -- you understand Netbios very well
# option netbios-node-type 2;
range dynamic-bootp 192.168.0.128 192.168.0.254;
default-lease-time 21600;
max-lease-time 43200;
# we want the nameserver to appear at a fixed address
host ns {
next-server marvin.redhat.com;
hardware ethernet 12:34:56:78:AB:CD;
fixed-address 207.175.42.254;
}
}
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
Linux Bonding 설정하기
본딩이란? 한대의 서버에 여러개의 랜카드를 이용하여 대역폭 또는 예비 회선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
전송 속도의 분배 및 대비책으로 사용하기 위한 기술이다.
윈도우에서는 티밍(teamig)이라고 불리우기도 한다.
1./etc/sysconfig/network 설정 (기본 Gateway를 설정해 줍니다.)
맨 밑줄에 GATEDEV=bond0 추가
2./etc/sysconfig/network-scripts/ifcfg-bond0 설정
'IT 관련정보 > 리눅스' 카테고리의 다른 글
리눅스 기본 이론(13) - RAID 구축하기 (0) | 2017.04.19 |
---|---|
리눅스 기본 이론(12) - NFS (0) | 2017.04.19 |
리눅스 기본 이론(10) - 네트워크 설정, 네트워크 진단 명령어, 서버 포트와 방화벽 (0) | 2017.04.19 |
리눅스 기본 이론 (9) - Nmap, rootkit, rkhunter, snort, TCP/IP 네트워크 설정 (0) | 2017.04.19 |
리눅스 기본 이론(8) - 로그 분석, 백도어 실습, tripwire (0) | 2017.04.19 |